.gitignore는 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릴 때 .gitignore에 명시된 파일은 github에 적용되지 않도록 해준다.
API key나 Client ID와 같은 개인정보가 담긴 파일을 제외하고 github에 push해야하는 경우 적합하다.
그리고 각 OS 마다 프로젝트를 열 때 생성되는 파일이 달라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gitignore를 통해서 그런 파일들은 무시해주는 것이 좋다.
.gitignore에 들어갈 파일 생성하기
그럼 gitignore에 들어가야하는 파일은 무엇일까? 아래 사이트에서 자신의 OS, 언어, 개발환경(IDE) 등을 입력하면 필요한 gitignore 파일들이 자동으로 생성된다.
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
협업을 할 때에는 MacOS를 쓰는 사람도 있고 Window를 쓰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키워드를 입력했다.
'생성' 버튼을 클릭한 후 생성된 텍스트를 IDE에서 최상단 .gitignore에 추가해주면 된다.
프로젝트 중간에 .gitignore 추가, 수정한 경우
프로젝트 중간에 이미 github에 올라가 있는 파일을 .gitignore에 추가하는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줘야 한다.
git rm -r --cached .
git add .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그러면 .gitignore에 추가한, 이미 github에 올라가 있는 파일이 git repository에서 삭제되면서 .gitignore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것이다.